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반도 순종의 산포도 파주 감악산 머루

요리 이야기/식재료3

by 그린체 2017. 2. 10. 13:58

본문

파주 감악산 머루 한반도 순종의 산포도 머루는 산열매이다. 우리 산야에 흔히 자랐는데, 요즘은 재배를 한다.<br>달고 신맛이 적다. 포도에서는 느낄 수 없는 또 다른 맛을 선사한다.

머루 갈매나무목 포도과의 덩굴식물이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로 한반도와 일본, 중국 등지에 자생한다.

우리 땅에 야생하는 머루는 왕머루, 머루, 새머루, 까마귀머루, 섬머루, 개머루 등이 있는데,

이를 두루 머루 또는 산머루라고 한다.

송이와 알이 제법 큼직하여 먹을 수 있을 정도의 것은 왕머루이다.

왕머루는 포도와 거의 흡사하여 산포도라고도 부른다.

현재 머루 또는 산머루라는 이름으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왕머루이거나

이 왕머루에 포도를 교배하여 얻은 개량 머루이다.

파주 감악산의 머루 재배 농민들은 자신들의 머루에 산머루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이를 두루 머루라 하므로 여기서도 머루라 하였다.




1 '감악산 산머루 마을'이다.보이는 것이 머루밭이고 뒤의 산이 감악산이다. 임진강에서 멀지 않다.
2 머루가 익어간다. 9월 중순이면 웬만큼 익으며 말이면완전히 익는다. 수확은 9월 말에 한다.
3 5만 원권 지폐에는 신사임당의 '묵포도도'가 그려져 있다. 열매가 동시에 익은 것이 아니니 머루인 것으로 보인다.

  



'머루포도'란 이름의 포도

머루는 토종 또는 야생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머루가 더 맛있는지의 여부를 떠나 머루라고 하면 건강에 좋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그래서 '머루포도'라고 불리는 포도가 인기가 있다. 이 '머루포도'는 야생에서 보는 머루보다 송이와 알이

몇 배는 크지만 짙은 먹빛 때문에 머루의 유전형질을 지니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먹빛 짙은 서양의 포도 역시 많으므로 시중의 '머루포도'가 곧 우리 토종의 머루에서 유래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또 서양 유래 포도 품종인 머스캣 베일리 에이(MBA, Muscat Bailey A), 스튜벤 등의 포도를 '머루포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머루는 대체로 포도에 비해 달고 신맛이 덜하다. 머스캣 베일리 에이와 스튜벤이 달고 신맛이 덜한데,

그 맛 때문에 상인들이 '머루포도'라는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5만 원권 지폐의 머루

머루는 왕머루 또는 그 왕머루의 개량종이라 하더라도 알이 잘고 송이가 크지 않다.

껍질은 얇고 제법 큰 씨앗이 두세 개 들어 있다. 또 과즙이 풍부하고 과육이 물러 씹으면 씨앗이 도드라지게 느껴지고 식감이 좋지 않다.

손으로 뭉개면 짙은 보라색이 쉽게 묻는다. 열매가 맺히는 과정에서 머루와 포도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포도는 알갱이 전체가 동시에 익어들어가지만 머루는 한 송이의 알갱이들이 제각각 익는다.

그러니까 머루는 한 송이에 익은 알과 안 익은 알이 함께 달려 있을 때가 있다.

5만 원권 지폐에 신사임당의 '묵포도도'()가 인쇄되어 있는데, 정확히 하자면 이는 포도가 아닐 수 있다.

익은 알과 안 익은 알이 동시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아 머루라고 보는 것이 더 맞을 것이다.

포도는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과일로 먹기 힘든 이유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 고려 가요인 [청산별곡]의 첫 연이다.

여기에 나오는 '멀위'는 머루이다. 우리 땅에 흔히 나는 산열매여서 이 노래에 쓰였을 것이고,

우리 조상들은 오래 전부터 이 머루를 먹었을 것이다. 그러나 머루 재배 역사는 길지 않다.

근대 초기에 포도가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난 이후에도 오랫동안 머루는 산야에서 따서 먹는 정도에서 그쳤다.

그 까닭은, 머루의 보관성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머루는 껍질이 얇고 수분이 많아 따자마자 뭉개지고,

또 금방 발효가 일어난다. 생과일로는 상품성이 없는 것이다.

1970년대 들어 이 머루로 생즙을 내어 판매하는 농민이 하나둘 생기면서 농가의 작물로 머루가 주목을 받게 되었다.

1980년대 들어 전국적으로 향토음식 붐이 일면서 머루 재배 면적이 급격히 늘어났다.

전북 무주와 진안, 강원 평창, 경남 함양 등 대체로 산간지에서 머루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감악산의 산머루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는 감악산을 뒤로 하고 임진강을 앞에 두고 있는 마을이다.

국내 머루 재배 지역으로는 최북단에 든다.

산을 뒤로 지고 있어 일교차가 큰 지역이다. 일교차가 크면 머루의 당도가 높아진다.

객현리 일대 머루 재배 농가는 40여 호에 이르며 연간 400여 톤의 머루를 거둔다.

1979년 산머루농원의 서우석 씨가 이 지역에서 머루를 처음 재배하였는데 산머루농원이 머루즙과

 와인을 제조하여 판매하면서 이웃 농가들도 머루 재배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이 마을 사람들이 감악산의 머루를 산머루라고 하는 것은 야생의 머루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알이 잘지만 당도는 상당히 높다. 산머루농원에서는 이 머루로 와인을 빚는다.

오크통에 넣어 숙성시키는 터널이 있으며 견학과 시음을 할 수 있다. 감악산의 머루는 9월 말에 수확한다.

글·사진/ 황교익 | 맛 칼럼니스트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