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년 세월의 풍파 함께한 정겨운 느티나무
1300살 된 느티나무를 찾아간 인천 영종도 백운산 자락의 용궁사에는 손님이 여럿 있었다.
전각에 남은 현판에서 백여 년 전 이곳에 머물렀던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손길을 확인하기 위해
죽은 나무의 나이를 측정하려는 충북대 목재종이과학과 박원규 교수와 죽은 나무가 다시 사람의 곁에서
오래 살도록 나뭇결에 혼을 불어 넣는 무형문화재 목조각장 제49호 한봉석 선생이다.
약속도 없이 같은 시간에 스님의 요사채에 모여 앉아 살아 있는 나무에서부터 죽은 나무,
죽어서 사람살이와 더불어 더 긴 세월을 살아가는 문화재로서의 나무에 이르기까지,
나무의 일생에 대한 갖가지 흥미로운 대화를 나눴다.
대관절 사람살이에 나무의 유효기간은 얼마나 될 것인가를 짚어 보게 하는 특별한 광경이었다.
원효대사가 지은 용궁사를 지켜온 상징
"오래된 목재에서도 50년 정도의 나이테만 확인할 수 있으면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어요.
나이테에는 기후를 중심으로 한 이 땅의 변화가 고스란히 남거든요.
기후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나이테가 형성된 시기를 확인하는 겁니다."
용궁사 현판의 나이를 측정하기 위해 절집을 찾은 박원규 교수는 죽은 나무의 나이 측정법을 그렇게 설명했다.
세도정치의 풍랑을 피해 흥선대원군은 한양에서 가깝지만 사람의 발길이 잦지 않은 영종도에 자주 들렀고 이곳 용궁사에 머물렀다.
용궁사 편액은 그가 남긴 뚜렷한 흔적이다. 첨단 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에서 천년 고찰을 찾을 수 있다는 건 의외일 수 있다.
그러나 용궁사는 흥선대원군의 예에서 보는 것처럼 수도권에서 가까운 곳이어서 우리 역사의 흔적을 적잖이 찾을 수 있다.
흥선대원군의 편액이 전부는 아니다.
그보다 훨씬 오랜 역사를 가리키는 증거는 바로 1300년이라는 장구한 세월의 흔적을 갖고 서 있는
인천시 기념물 제9호 용궁사 느티나무 한 쌍이다.
"언제 심은 나무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은 없어요.
아마 우리 절을 처음 세운 분이 1300년 전의 원효대사라는 걸 바탕으로 짐작한 이야기이지 싶어요.
나무가 그때부터 저 자리에 있었다고 보는 거죠."
용궁사에 주석한 지 1년 됐다는 주지 능해(能解) 스님의 이야기다.
스님은 절집의 여러 전각 못지않게 나무가 용궁사를 지켜온 상징이라고 덧붙였다.
전각 사이에 두고 마주한 할배·할매나무
용궁사는 신라 문무왕 10년인 서기 670년에 원효대사가 세웠다고 전한다.
처음에는 구담사(瞿曇寺), 백운사(白雲寺)라고 불렀는데
조선 철종 5년에 흥선대원군이 중건하면서 용궁사(龍宮寺)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천년 고찰 용궁사에서 가장 오래 살아남은 생명은 역시 요사채 양쪽에 서 있는 한 쌍의 느티나무다.
절집을 찾는 사람들은 나무를 할배나무 할매나무라 부른다.
할매나무는 뿌리 부분에서부터 줄기가 둘로 갈라졌는데 갈라진 두 줄기 모두 건강 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
둘로 나뉜 줄기 가운데 비교적 굵은 줄기에서 뻗어나온 몇 가닥의 가지에만 간당간당 생명이 붙어 있다.
할배나무는 내외하는 노부부들처럼 고개를 돌리고 무뚝뚝하게 우뚝 선 채로 할매나무 쪽을 흘금거리는 눈치다.
예전에 나무가 젊었을 때는 더 많은 가지가 할매나무 쪽으로 뻗었다고 한다.
전각을 가운데 두고 마주 보고 서 있는 모습이나 서로를 향해 가지를 뻗은 모습에서 사람들은 정겨운 부부의 인상을 얻은 것이지 싶다.
아이를 낳지 못하는 아낙네들이 할배나무에 기원을 올리면 아이를 낳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도 부부처럼 정겨운 나무 풍경에서 비롯됐다.
우리나라에는 할아버지 할머니, 혹은 부부의 연을 가진 나무가 적지 않다.
이번 태풍 볼라벤의 습격으로 큰 가지가 부러진 보은 정이품송과 그의 정부인으로 불리는 보은 서원리 소나무가 대표적인 예다.
또 1500살 된 삼척 늑구리 은행나무와 1100살 된 영주 금성단 은행나무도 부부의 연을 맺고 살아온 나무다.
꼭 그런 건 아니지만 대개의 경우 남성형의 나무는 중심 줄기가 우뚝 서고
여성형의 나무는 작은 키에 줄기가 둘로 갈라진 형태이기 십상이다.
옛 사람들의 성(性)에 대한 의식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용궁사 느티나무도 그렇다.
하나의 줄기가 우뚝 선 나무가 할배, 줄기가 둘로 갈라진 채 다소곳이 서 있는 나무가 할매나무다.
강인한 생명력으로 세상의 모든 생명 품어
할배나무는 키가 20m쯤 되고 줄기 둘레는 6m쯤 된다.
줄기의 상당 부분은 썩어 문드러져 충전물로 메운 수술 흔적이 줄기의 절반이 넘는다.
할매나무는 할배나무에 비하면 왜소해 보인다.
물론 할매나무도 젊은 시절에는 할배나무 못지않게 우람했겠으나 이제는 연명하는 것만으로도 고마운 지경이다.
용궁사 느티나무는 마을의 당산나무였다고 한다.
용궁사를 찾아온 사람들이 나무에 절을 올리는 건 당연한 일이다. 절집에서 가장 공경받는 상징이라 할 만하다.
"살아 있는 모든 것을 품어 안는 게 중도(中道)예요. 산에서는 산이 주인인 것처럼 마을에는 당연히 마을의 수호신인 나무가 주인이지요.
삼라만상 모두에 담긴 불성을 찾아나가는 게 불가의 도리입니다. 하나의 테두리 안에 널리 포용해야 하겠지요."
능해 스님은 '중도' 이야기를 들어 세상의 모든 생명을 함께 품어 안고 살아가는 게 불가의 도리라고 강조했다.
나무가 긴 세월 동안 절집을 평안하게 지켜온 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글 사진 영종도 고규홍 나무칼럼니스트 gohkh@solsup.com
인천 중구 운남동 667번지 용궁사 내.
가는 길
서울에서 출발해 영종도에 들어가려면 영종대교를 이용하는 게 좋다.
영종도에 들어선 뒤 처음 나오는 교차로인 금산교차로에서 고속도로를 빠져나간다.
금산교차로에서 중산동 방면으로 1.3㎞쯤 가면 운남교차로가 나온다. 여기에서 우회전해 마을 길로 들어선다.
길이 좁아 마주 오는 차와 교행이 되지 않으니 조심해서 700m쯤 간다.
길 양옆에 자그마한 식당이 나오는 지점에서 유턴하듯 우회전해서 산길로 800m 들어가면 용궁사에 이른다.
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서울신문
사람이 살지만 지도에서 사라진 섬을 아시나요 (0) | 2012.11.24 |
---|---|
[전주여행] 콩나물국밥 발상지이고 피순대에 팥죽도 맛나는 남부시장을 가본다 (0) | 2012.10.10 |
[특이한 섬] 세계의 특이한 섬 10곳을 소개하다 (0) | 2012.07.14 |
호주의 에어즈록은 중북부에 있는 모래바위이다 (0) | 2012.06.11 |
[중국 미엔산] 해발 2천미터 아찔한 절벽에 호텔이 있다 (0) | 2012.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