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삼성생명] 추석 맞이 손쉽게 차례상 차리는 법

교육에 관한 것/교육 지침서

by 그린체 2013. 9. 14. 07:53

본문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우는

정겨운 시간을 생각하면 벌써 마음이 설렙니다.

특히 추석엔 가족을 만나는 것도 중요하지만,

조상님께 올리는 차례상을 정성껏 차리는 것이 우선이겠죠?

이번 추석에는 차례상 차리는 법을 마스터해 좀 더 쉽고 빠르게,

하지만 더욱 정성이 깃든 차례상을 마련해 보세요.

추석을 맞아 차례상 차리기 노하우를 알려드립니다.

 

 

 


 

 


아무리 들여다봐도 헷갈리기만 하는 차례상!

늘 선뜻 나서서 차리기가 망설여지는데요.

하지만 복잡해 보이는 차례상 상차림에도 규칙이 존재한답니다.

혹시 ‘홍동백서’나 ‘어동육서’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이것은 사자성어로 차례상 좌우에 어떻게 배치하는가를 알려줍니다.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두동미서(頭東尾西) : 생선의 머리는 동쪽에,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접동잔서(楪東盞西) :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놓는다.
・숙서생동(熟西生東) : 익힌 것은 서쪽에, 날 것은 동쪽에 놓는다.
・면서병동(麵西餠東) : 면은 서쪽에, 떡은 동쪽에 놓는다.
・반서갱동(飯西羹東) : 밥은 서쪽에, 국은 동쪽에 놓는다.
・건좌습우(乾左濕右) :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는다.
・좌포우혜(左脯右醯) : 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다.
・조율이시(棗栗梨枾)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놓는다

 

 

 


정말 많죠? 하지만 이것으로 끝이 아닙니다.

차례상은 한 줄이 아닌 여러 줄로 큰 상차림을 하므로

각각의 열에 어떻게 배치해야 하는지도 알아야 해요.

조상님을 나타내는 신위에서 가까운 쪽부터 1열로 생각하면 됩니다.

 

 

 

・1열 : 식사류인 밥과 국을 올립니다. 시접, 잔반, 밥과 국을 신위 수만큼 올리는데,

             설날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송편을 올리면 됩니다.
・2열 : 생선탕, 두부탕, 고기탕 등 탕류를 올립니다.
・3열 : 구이, 전 등을 올리는데, 어동육서와 두동미서의 원칙을 따릅니다.
・4열 : 포와 나물, 김치 등 밑반찬류를 올리며, 좌포우혜의 순서로 놓으면 됩니다.
・5열 : 과자, 과일 등 후식에 해당하는 것들을 올리는데, 조율이시, 홍동백서 규칙대로 배열합

 

 

 


외우기가 너무 힘들다고요? 하지만 우리가 밥을 먹을 때의 순서를 떠올리면 그리 어렵지 않답니다.

밥과 국 같은 기본 식사류는 가장 가까운 쪽에 놓고,

메인 요리라 할 수 있는 탕이나 구이 같은 것은 가운데, 그리고 반찬류는 주변에 놓으면 됩니다.

차례상을 받는 조상님이 계신 신위를 기준으로 가까운 곳에는 기본 식사류와 탕,

그리고 먼 곳에는 반찬류나 후식류를 놓는다는 것을 알아두면 훨씬 쉽게 기억할 수 있을 거에요.

 

지역별로 다른 추석 상차림, 알고 계시나요?

‘남의 집 제사에 감 놔라 배 놔라 하지 말라’는 옛말이 있죠?

통상적으로 차리는 차례상은 다들 비슷비슷하지만,

올리는 음식이나 위치는 지역마다 조금씩 다를 수도 있답니다.

외운 것과 다르다고 당황하지 말고,

지역별로 다른 추석 상차림에 대해서도 알아두면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거에요.

 

 

 



 

・경기도 :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중요하게 여긴 북어를 중요시해서 차례상에 꼭 ‘통북어구이’를 올렸다고 합니다.

                또 녹두를 갈아 배추를 고명으로 넣고 만드는 녹두전을 부침전으로 올리기도 해요.

                다른 지역에 비해 생선은 적게 올리지만, 생선 가운데 으뜸인 굴비를 비롯하여

             참조기, 가자미 등을 올리기도 합니다.

・경상도 : 대구 지역은 적으로 참상어살을 구워서 올리는데, 대구 사투리로 ‘돔배기’라고 합니다.

                바다를 끼고 있어 조기뿐만 아니라 민어, 가자미, 방어, 도미 등 여러 종류의 생선과 어패류,

                그리고 북어포, 대구포, 가우리, 피문어 등의 생선포 등도 함께 올린답니다.

                참, 안동에서 유명한 안동식혜는 그 지역의 차례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제물이라죠.

・충청도 : 3도가 인접한 충청도는 다양한 제물을 올리기로 유명한데요.

                경북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건어물인 대구포, 상어포, 오징어, 가오리포, 피문어 등을,

                호남과 인접한 지역에서는 말린 홍어, 병어, 가자미, 낙지, 서대묵 등을 올린다고 합니다.

                바다가 인접하지 않은 내륙지역에서는 배추전, 무전 등 전과 부침류를 올립니다.

・전라도 : 전라도 차례상에는 홍어를 올리는 것이 특징이죠.

                먹을거리가 풍성하고 음식 문화도 발달한 지역이어서 차례상에도 다양한 음식이 오르는데요.

                병어나 낙지, 꼬막 같은 어패류도 많이 올린다고 해요.

・강원도 : 산간지역으로 나물과 감자, 고구마를 이용한 음식이 많고,

                특히 메밀꽃으로 유명한 평창은 차례상에 반드시 밀전을 올린다고 합니다.

                버섯류도 부침이나 전의 단골 재료인데요. 송이와 같은 귀한 버섯은 소적으로 구워내고,

                어물이 많이 나는 동해와 강릉 지역에서는 명태포와 생선전은 필수랍니다.

・제주도 :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특산물을 차례상에 올리는 경우가 많아요.

                제주도에서만 잡히는 옥돔 등의 생선이나 전복과 함께 제주도에서 재배하는

                다양한 과일들도 차례상에 많이 올린다고 합니다.


 

 

차례상에 꼭 올려야 하는 음식이 있지만, 피해야 할 음식도 있는데요.

복숭아나 붉은 팥은 귀신을 쫓는다 하여 차례상에 올리면 조상이 찾아오지 못한다고 해요.

또, 고춧가루나 파, 마늘 등을 양념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이름의 끝이 ‘치’로 끝나는 갈치나 꽁치 등은 천하다고 여겨 상에 올리지 않는답니다.

언뜻 복잡해 보이지만 알고 나면 재미있는 차례상,

올 추석에는 직접 차례상 차리기에 도전해서 더욱 뜻깊은 명절을 만들어 보세요~!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