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여수엑스포를 빛낸 5대 스타는 누구?

여행,사진방/공연전시,박람회

by 그린체 2012. 8. 18. 08:01

본문

 

 

여수엑스포는 104개국과 10개의 국제기구가 참여하는

전 세계인의 해양축제로 93일간의 향연을 마치고 12일 폐막했다.

나도 두번이나 다녀왔는데됴 못본 곳이 많아서 아쉬움이 남는다

 


여수엑스포장을 빛낸 다섯 스타

 

 
1. 여니 & 수니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의미의 마스코트(mascot).

여수엑스포 공식 마스코트인 '여니(Yeony)'와 '수니(Suny)'는 박람회장을 빛낸

각국의 마스코트 중에서도 단연 돋보였다.

기념품점 곳곳에서는 여니와 수니가 날개 돋힌 듯 팔려나갔고  엑스포장 곳곳에 설치된

여니-수니 포토존에도 추억을 간직하려는 이들로 북적댔다.

여수의 '여'와 '수'의 앞 글자를 따와 만든 여니와 수니는 어류의 먹이자원이며

바다와 연안을 지켜주는 생명의 근원인 '플랑크톤'을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짙은 블루의 여니는 바다 속의 무한한 자원을 표현하면서 맑고 깨끗한 우리나라 바다를 의미하고

빨간색 수니는 바다와 육지에 서식하는 생명체를 상징하는 레드를 모티브로

물과 여성 등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2. 듀공

주제관의 백미. 바다동물 '듀공(dugong)'과 어린 소년이 심해를 탐험하며 우정을 나누는

 판타지 영상은 엑스포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였다. 특히 듀공과 소년이 바다 오염으로

위기에 처한 지구를 구한다는 스토리는 엑스포의 주제와도 딱 맞아 떨어졌다.

영상이 끝난 후 듀공과 소년이 실제 무대에 나타나 서로 교감하는 장면은 생명의 존엄성과

환경 보존의 소중함을 전하기에 충분한 메시지가 됐다.

듀공은 세계에 100여마리만 남은 포유류다. 긴 코와 큰 귀를 지녔고 몸길이가 3m에 이른다.

메인 스크린 뒤에는 성우와 조작가 1명씩이 듀공의 목소리와 움직임을 조정하며

관람객들과 유머스런 교감을 나눠 호기심과 진한 추억을 선사했다.

 

 

 

 

 

 
3. 연안이

매일 오후 2시면 어김없이 진행된 해상쇼 '꽃피는 바다'의 주인공으로 각광을 받았다.

높이 11m 체중 20t에 달하는 대형 인형으로 '걸리버' 같은 몸집에 13명이 따라 붙어

관절 마디마디를 조정해 신기한 볼거리 중 하나로 인기를 한몸에 받았다.

흰 바탕에 하늘색 줄무늬를 한 셔츠와 하늘색 반바지를 입은 목각인형 연안이는

거대한 모습 탓에 움직일 때마다 관람객들의 환호성을 자아내게 했다.

연안이는 동양 설화와 서양의 마리오네트가 결합된 일종의 융합체다.

여수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오돌이' 설화 등이 배경이 됐다.

워낙 거대하다보니 제작 기간만도 1년이 걸렸다.

해상쇼는 디지털 엑스포에서 유일한 아날로그 공연으로 눈길을 끌기로 했다.

 

 


4. 벨루가

북극 해역에 사는 벨루가는 마치 새처럼 고음을 낼 수 있어

'바다의 카나리아'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다.

톡 튀어나온 이마에 웃는 표정이 귀엽고 입으로

도너츠 모양의 거품을 만드는 재주도 부린다.
벨루가의 경우 세계적인 멸종 위기종으로 종 보존과 생물 보호대상

동물이며 환경에 매우 민감한 동물이다.

벨루가가 관람객들로부터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록 보호하는 것은

조직위원회 입장에선 특명과도 같았다.

루오, 루비, 루이 등 벨루가 3남매는 런던올림픽 개막 후에는

한국 축구대표팀을 응원하고

수중 축구 이벤트도 가져 눈길을 끌기로 했다.

 

 

 

 

 


5. EDG 혹등고래

'고래밥'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낸 장본인.

엑스포 명물 EDG의 하이라이트인 '꿈의 고래'에서 나온 말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여수엑스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자원봉사자 도움으로 사진을 활용해

업로드하면 그 사진들을 모아 꿈의 고래(혹등고래)가 완성되는데 이를 두고

"고래밥을 준다"는 말이 유행한 것.

실제로 현장에서는 '고래 타임'이라며 사진을 찍어 업로드시켜주는

자원봉사자까지 생겨날 정도였다.

상업적으로 가치가 커 20세기 초·중반에 남획으로 그 수가 격감됐다.

1960년대 중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보호하고 있지만

'적색자료목록'에는 멸종위기종으로 기재돼 있다.

 

 


 


관련글 더보기